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전문적인 교육

홈서비스 교육전문기관 에듀탑원에서
LG유플러스 교육을 시작합니다.

전문적인 교육

홈서비스 교육전문기관 에듀탑원에서
LG유플러스 교육을 시작합니다.

전문적인 교육

홈서비스 교육전문기관 에듀탑원에서
LG유플러스 교육을 시작합니다.

교육일정 안내

더 보기

교육과정 미리보기

매월 운

홈매니저 기술역량향상 과정

현장 응용 과정을 이수하였거나 이에 상응하는 역량을 보유한 홈매니저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관련 교육 및 기술적 이슈에 대한 학습을 통해 기술 역량을 향상시키는 과정

매 짝수월 1주차 운영

홈매니저 신입 기초 과정

홈매니저를 대상으로 홈서비스 기초기술과 고객응대를 교육하는 현장 실무 예비 과정

Professional Training

  • 현장중심
  • 실습중심

현장중심 Field Centered

전문강사에 의한 현장에 꼭 필요한 교육과정을 통해
역량을 향상시키고 전문인력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Professional Training

  • 현장중심
  • 실습중심

실습중심 Practice Centered

현장에서 꼭 필요한 역량을 실습과정을 통해 숙달화 및
체득화를 하고 있습니다.

에듀탑원 소식

에듀탑원의 최신 소식들을 만나보세요.

공지사항

LG유플러스, AI로 통신 산업 혁신…고객 경험과 네트워크 효율성 동시 강화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디지털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고객 응대부터 네트워크 운영, 사내 업무 자동화까지 AI 기술을 전방위적으로 도입하며 통신 산업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LG유플러스는 고객 상담 서비스에 AI 챗봇과 음성봇을 적용해 응대 품질을 크게 향상시켰다. 자연어 처리(NLP)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단순 문의는 AI가 실시간으로 처리한다. 복잡한 상담은 상담사에게 자동 연결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네트워크 운영에서도 AI의 역할은 점점 확대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AI 기반의 트래픽 예측 및 장애 감지 시스템을 도입해 네트워크 안정성을 강화하고 있다.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상 징후를 조기에 탐지하고, 자동으로 대응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운영 효율성과 서비스 품질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 사내 업무 자동화에도 AI 기술이 적극 활용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와 AI를 결합한 ‘지능형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반복적인 업무를 줄이고, 직원들이 보다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특히 “AI 기술을 밝은 세상을 만드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며 “데이터 기반 실행 전략과 협력 생태계를 통해 통신을 넘어 새로운 경쟁 영역에서도 1등 사업자가 되겠다”고 밝혔다. 향후 LG유플러스는 스마트홈, 자율주행,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AI 기술의 활용 범위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AI 전문 기업과의 협업을 강화하고, 자체 기술 역량 확보에도 집중하고 있다. 통신을 넘어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의 도약을 준비 중인 LG유플러스의 AI 전략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향후 어떤 혁신적 서비스로 이어질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5년 08월 03일

공지사항

[네트워크 상식 61] I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12)

[네트워크 상식 61] I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12) (2-4)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거리 벡터 방식을 사용하는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중에서 가장 간단하게 구현된 것이다.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다. RIP가 제대로 동작하려면 주변 라우터가 제공하는 거리 벡터 정보가 임의의 짧은 시간 내에 모두 도착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구현이 쉽지 않다. 특히 RIP 패킷은 UDP를 사용하는데, UDP에서는 비신뢰성 전송을 제공하므로 RIP 패킷이 전송 과정에서 사라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RIP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한을 두어 개별 거리 정보가 라우팅 테이블에 순차적으로 적용되도록 한다. • 입력되는 거리 벡터 정보가 새로운 네트워크 목적지 주소면 라우팅 테이블에 적용한다. • 목적지 경로까지 도착하는 지연이 더 적으면 기존 경로를 대체한다. 즉, 홉 수가 같아도 추가 지연 측정을 통해 지연 시간이 적으면 새 경로를 선택한다. • 임의의 라우터로부터 거리 벡터 정보가 들어왔을 때, 라우팅 테이블에 해당 라우터를 다음 홉으로 하는 등록 정보가 있으면 새로운 벡터 정보를 반영하도록 등록 정보를 수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그림에서 라우터 R1의 라우팅 테이블에 [표 7-1]과 같은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값 중에서 주목할 사항은 네트워크 Net.4를 목적지로 하는 패킷은 라우터 R4를 거쳐서 네트워크 Net.3과 라우터 R5의 경로를 선택 하도록 되어 있다는 점이다(이는 극단적으로 나쁜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라우터 R1과 직접 연결된 주변 라우터 R2, R3, R4, R6으로부터 라우팅 정보가 주기적으로 입력된다. 임의의 시점에 다음의 거리 벡터 정보가 들어온다고 가정해보자. 각 값은 순서대로 Net.1, Net.2, Net.3, Net.4, Net.5까지의 거리다.   R2 = [1, 2, 2, 1, 2] R3 = [2, 1, 2, 1, 2] R4 = [2, 1, 1, 2, 2] R6 = [2, 1, 2, 2, 1]   이 값을 해석하면, 네트워크 Net.4로 갈 때 라우터 R4나 R6을 거치면 거리가 2지만 라우터 R2나 R3을 거치면 1이다. 라우터 R2와 R3을 이용하는 것이 거리가 짧으므로 이 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라우터 R1에서 라우터 R2나 R3으로 가는 거리 1을 더하면 최종 거리는 2다. 결과적으로 [표 7-1]보다 패킷을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새로운 경로를 찾았으므로 이를 라우팅 테이블에 반영한다. 여기서는 라우터 R3을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새로 수정한 라우터 R1의 라우팅 테이블은 [표 7-2]와 같다.   RIP는 라우터 사이에서 링크 벡터, 거리 벡터, 다음 홉 벡터 등의 정보를 교환 하려고 아래 그림과 같은 패킷 구조를 사용한다. 각 필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세 번째 줄(IP Address 1)부터는 개별 네트워크에 대한 거리 정보를 기술하는데, 패킷 하나는 최대 25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Command(명령) : 값이 1이면 요구를, 2면 응답을 의미한다. RIP가 초기화되는 과정에서 RIP 요구가 브로드캐스팅되면 이 패킷을 받은 라우터는 즉각 응답하게 된다. • Version(버전) : RIP의 버전 번호다. • IP Address(IP 주소) : 네트워크를 지칭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IP 주소부의 네트워크 부분만 사용하고, 호스트를 표시하는 부분은 값을 0으로 채운다. • Metric(거리) : 해당 라우터에서 목적지 네트워크까지의 거리다.   참조문헌: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2025년 06월 13일

공지사항

[네트워크 상식 60] I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11)

[네트워크 상식 60] I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11) (2) 거리벡터 프로토콜 거리 벡터(Distance Vector) 프로토콜은 라우터가 자신과 직접 연결된 주변 라우터와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정보를 교환하는 라우터는 거리 벡터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호스트나 라우터들이다. 교환 정보는 각각의 라우터에서 전체 네트워크에 속하는 개별 네트워크까지 패킷을 전송하는데 걸리는 거리 정보다.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구현하려면 개별 라우터가 링크 벡터, 거리 벡터, 다음 홉 벡터라는 세가지 필수 정보를 관리해야 한다. • 링크 벡터 : 주변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 정보 • 거리 벡터 :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거리 정보 • 다음 홉 벡터 : 개별 네트워크로 가기 위한 다음 홉 정보 • RIP :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거리 벡터 방식을 사용하는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2-1) 링크 벡터   링크 벡터 L(x)는 라우터 x와 직접 연결된 주변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 정보를 보관한다. 라우터 x와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가 M개일 때 링크 벡터 정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링크 벡터 L(x) = [포트(1), 포트(2), ······, 포트(m), ······, 포트(M)] 링크 벡터에 보관된 정보는 라우터 x가 해당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해 할당한 라우터 포트 번호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림의 네트워크에서 라우터 R1의 링크 벡터 정보를 구하려면 R1에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그림에서는 네트워크 Net.1 과 Net.2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라우터 R1의 1번과 3번 포트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라우터 R1의 링크 벡터 정보는 다음과 같다. L(R1) = [포트(Net.1) = 1, 포트(Net.2) = 3]   라우터 R2와 R7도 동일한 원리로 다음과 같이 링크 벡터 정보를 구할 수 있고, 다른 라우터들도 같은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경로 벡터는 자신과 직접 연결된 주변 노드에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 L(R2) = [포트(Net.1) = 1, 포트(Net.4) = 8] • L(R7) = [포트(Net.3) = 6, 포트(Net.5) = 9]   (2-2) 거리 벡터 거리 벡터 D(x)는 전체 네트워크에 포함된 개별 네트워크들까지의 거리 정보를 관리한다. 네트워크가 N개라고 가정하면 거리 벡터 정보는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거리 벡터에서 관리하는 거리 정보는 일반적으로 개별 네트워크까지 패킷을 전송하는 데 걸리는 최소 전송 지연 시간이다. 거리 벡터 D(x) = [거리(1), 거리(2), ······, 거리(n), ······, 거리(N)]   예를 들어, 상기 그림의 라우터 R1을 위한 거리 벡터 값은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전체 네트워크에 포함된 네트워크는 5개므로 보관 값은 5개다. 표시된 거리 값은 홉 수를 가정해 임의로 표기한 것이다. 라우터 R1 외의 다른 라우터도 거리 벡터 정보를 5개씩 보관한다.     (2-3) 다음 홉 벡터 다음 홉 벡터 H(x)는 개별 네트워크까지 패킷을 전송하는 경로에 있는 다음 홉 정보를 관리한다. 보관하는 정보 수는 전체 네트워크에 속한 네트워크의 개수로, 거리 벡터의 경우와 같다. 다음 홉 벡터 H(x) = [홉(1), 홉(2), ······, 홉(n), ······, 홉(N)]   예를 들어, 상기 그림의 라우터 R1을 위한 다음 홉 벡터 값은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보관되는 값은 거리 벡터의 개수와 같은 5개다.     참조문헌: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2025년 05월 15일

공지사항

[네트워크 상식 59] I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10)

[네트워크 상식 59] I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라우팅 인터넷에는 수많은 호스트가 연결되므로 관리하는 라우팅 정보가 매우 많다. 그러다보니 이를 적절히 관리하여 효과적으로 라우팅하는 작업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 이 절에서는 다양한 라우팅 관련 프로토콜을 알아본다.   간단한 라우팅 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의미하는 거리 기준은 다양하지만, 라우팅과 관련해 가장 보편적 으로 이용하는 기준은 전송 경로의 중간에 위치하는 라우터의 개수, 즉 홉(Hop)의 수로 판단하는 것이다.   최단 경로 라우팅   최단 경로 라우팅 방식에서는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과정에 거치는 라우터 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경로를 선택한다. 장점은 비교적 간단한 형식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 전송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여러 경로 중 가장 짧은 경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그림의 경우에 호스트 a에서 호스트 g까지 도달하는 경로는 여러 개지만, 가장 짧은 경로는 라우터 c만을 거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호스트 a에서 호스트 d까지 도달하기 위한 최단 경로는 라우터 b나 c를 통과하는 것이다. 두 경로는 홉을 기준으로 하면 거리가 동일하다. 홉 수 외에 거리 기준이 될 수 있는 요소에는 패킷의 전송 지연 시간, 전송 대역폭, 통신 비용 등이 있다. 이들 요소를 개별적으로 적용하거나 적절한 비율로 함께 적용할 수 있다.   ​​​​​​​플러딩   플러딩(Flooding)은 라우터가 자신에 입력된 패킷을 출력 가능한 모든 경로로 중개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원본 패킷과 동일한 패킷이 무수히 생성되고, 모든 경로를 통해 반복하므로 네트워크에 패킷이 무한 개 만들어질 수 있다. 패킷이 무한정 증가하는 현상을 방지하려면 각 패킷의 홉 수를 일정 범위로 제한해 라우터에서 이를 확인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플러딩 방식의 라우팅은 많이 이용하지는 않고, 중요한 데이터를 모든 호스트에 동시에 전달하는 환경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참조문헌: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2025년 04월 24일

교육과정 묻고 답하기

문의하기